생생정보

청년 근속 인센티브에 대해 안내드려요.

octsky 2025. 8. 5. 18:20
반응형

 

1. 제도 개요 및 목적

“청년 근속 인센티브”는 2025년부터 기존의 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 제도에 장기 근속에 대한

“직접 인센티브” 지급이 추가된 형태입니다. 정부는 만 15~34세 청년을 정규직으로 고용한 기업에 월 최대 60만 원씩, 최대 12개월간 장려금을 지급해왔고, 여기에 청년이 일정 기간 근속을

유지할 경우 본인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함으로써 중장기 취업 안정성을 높이려는 목적입니다.

 

2. 제도 구성 및 대상

 

2‑1. 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 대상 청년:

만 15세 ~ 34세, 취업애로 청년

(채용일 기준 6개월 이상 실업 상태 또는 고용보험 미가입 경력 있는 자), 일부 졸업예정자 포함

 

# 신청 기업 요건: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기업. 다만, 임금체불 이력이 있거나 고용노동부

제재사업장 등은 제외됩니다

 

# 근로시간 기준: 기존 주 30시간 이상 → 2025년부터 주 28시간 이상 근무자도 포함 

 

2‑2. 청년 장기근속 인센티브 고용장려금을 받은 청년이 6개월 이상 근속을 유지할 경우, 청년

본인에게 추가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 지급 시점은 대체로 6개월, 12개월, 18개월,

24개월 유지 시 단계별 120만원 지급 방식으로 설계되어 최대 480만원까지 수령가능합니다.

이를 통해 청년 본인의 근속 유도 및 경제적 안정을 동시에 달성하려는 구조입니다.

 

 

3. 신청 기간 및 절차

 

# 기업 신청 시작일: 2025년 1월 23일

 

# 청년 채용 가능 기간: 2025년 1월 1일 ~ 12월 31일

 

# 신청 마감: 청년 채용일로부터 3개월 이내 기업이 신청해야 합니다.

 

# 지원 유지 조건: 고용 유지를 최대 12개월까지 지원하며 이후 인센티브 지급 여부가 결정

됩니다 

 

# 예산 유효 기간: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으므로 조기 신청 권장

 

<신청 절차 요약>

 

1. 기업이 ‘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’ 누리집에서 신청

2. 심사 승인 후 청년 고용

3. 기업 → 매월 장려금 지급 (최대 12개월)

4. 청년 → 근속 유지 시 단계 인센티브 수령

(6·12·18·24개월 각 시점마다 120만원씩, 최대 480만원)

5. 급여지급 내역, 인센티브 여부 등은 누리집 마이페이지 또는 문자·이메일 통보로 확인 가능 

 

 

4. 주요 변경 및 확대 내용 (2025년) 근로시간 기준 완화:

 

#  주 28시간 이상 근무도 대상 포함 졸업예정자 포함: 졸업 예정일이 명시된 재학생도 신청 가능

#  지원 대상 확대: 청년 인센티브 대상자 범위가 넓어지고, 기업 대상으로 지원 인원도 확대

(10만명→10만7천 명 수준)

 

# 인센티브 지급 방식 개편: 더 세분화된 단계별 지급 구조 도입으로 장기근속 유도 강화

 

 

5. 인센티브 금액 및 지급 구조

 

# 청년일자리 장려금(기업 대상): 월 최대 60만원 × 최대 12개월 → 총 최대 720만원 기업에 지급

 

# 청년 근속 인센티브(청년 대상): 6개월 이상 재직한 청년에게 6개월, 12개월, 18개월, 24개월 유지 시 각 120만원씩 최대 480만원을 지급합니다. 예를 들어: 6개월 유지 시 첫 인센티브 일부 지급 2년 장기 유지 시 누적 인센티브가 청년에게 실질적 혜택 제공 이로써 청년은 단순 취업 지원을 넘어 장기 고용 기간 동안 실질적인 소득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 

6. 참여 시 유의사항과 제한

 

# (중도 퇴사 시): 청년이 6개월 미만 근무하고 퇴사하면 기업은 지원금을 받을 수 없고, 청년도

인센티브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 다만, 천재지변이나 건강상 이유 등 예외적 사유는 개별 심사 가능 

 

# (지원 제외 기업) 임금체불 이력, 고용노동부 제재 이력 다단계 판매·사행업종 등 이전 유사

제도 부정 수급 이력 보유 기업 등 

 

 

7. 기대 효과 및 활용 방안

 

# 청년의 안정적 정규직 근속 유도: 단계별 인센티브로 6개월 이상 근속률 상승 기대

 

# 기업의 채용 부담 경감: 장려금·인센티브 구조로 기업도 장기 고용 유지에 유인

 

# 사회적 효과: 청년의 고용 안정성과 가계소득 향상 → 취업 시장 구조에 긍정적 영향

 

 

8. 요약 정리 항목 내용

 

(제도명) 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 + 청년 근속 인센티브

 

(대상 청년) 만 15~34세, 취업애로 청년, 일부 졸업예정자 포함

 

(기업 대상 지원) 월 최대 60만원 × 12개월 = 최대 720만원

 

(청년 인센티브) 6·12·18·24개월 유지 시 단계별 지급

 

(신청 기간) 2025.1.23~ 청년 채용일로부터 3개월 이내

 

(지원 조건) 주 28시간 이상 근무, 정규직 고용

 

중도 퇴사 시 기업 장려금·청년 인센티브 모두 취소 가능 신청·확인 방법 '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' 누리집 또는 고용센터 문의

 

 

9. 참고 및 안내

 

# 제도의 자세한 지급 기준, 인센티브 금액, 신청 방법, 서류 등은 반드시 고용노동부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누리집과 고용센터를 통해 확인하세요.

 

# 예산 소진 우려가 있으므로 조기에 신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

 

# 제도 간 혼동 예방을 위해 자신이 졸업예정자, 재직 중 청년, 미취업자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

정확히 확인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 

반응형